제 목 | 관류보일러 2대 신설로 대수제어 10톤(t/h) |
업 종 | 섬유 |
생산제품 | 폴리에스텔 섬유 |
개선안 대분류 | 설비대체 |
개선안 소분류 | 적정 용량의 보일러로 대체 |
개선 전 |
ㅇ 7 ton/h 의 노통 연관 보일러 1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생산 공정과 난방용에 증기부하를 담당하고 있다.
ㅇ 7 ton/h 보일러는 0.4MPa의 압력으로 증기를 생산하고 있으며 생산공정과 난방에서 0.2MPa 로 감압하여 사용하고 있다.
ㅇ 7 ton/h 보일러의 열원은 LNG를 사용하고 있으며 배기덕트에 Economizer를 설치하여 평균 20℃의 급수를 예열하여 50℃로 공급하고 있다.
ㅇ 보일러 운전현황은 다음과 같다.
ㅇ 진단기간 현재는 난방 증기부하가 중지된 상태이며 생산공정의 부하 감소로 부하율 6%로 운전되고 있으며 증기원단위 및 보일러 효율이 낮고 보일러 예열부하에 많은 열이 소모 되고 있다.
개선 후 |
ㅇ 고효율 관류보일러 1.0 ton/h 2대를 신설하여 생산공정 및 난방 부하에맞게 대수 분할 운전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한다.
ㅇ 산출기준
1) 보일러 열정산 (저위발열량 기준)
기대효과 |
1) 개선전,후의 효율
2) 개선전,후의 용량 및 대수제어 조건
3) LNG 단가 : 639 원/N㎥ (2008년 기준)
4) 연간 LNG 사용량 : 190 kN㎥/년 (2008년 기준)
5) 절감율
= [(개선후 열효율 - 개선전 열효율)] / 개선후 열효율 * 100
= [(0.95 - 0.79) / 0.95] * 100
= 16.8%
① 예상 절감량
▫ LNG 절감량 (kN㎥/년)
= 2008년 LNG 사용량 * 절감율
= 190 (kN㎥/년) * 0.168
= 31.9 kN㎥/년
▫ 에너지 절감량(toe/년)
= LNG 절감량 * 에너지 환산 계수
= 31.9 (kN㎥/년) * 1.05 (toe/kN㎥)
= 33.5 toe/년
② 예상 절감율
= 연간 예상 에너지 절감량 / 2008년 에너지 사용량
= 33.5 (toe/년) / 3,803 (toe/년) * 100
= 0.9 %
③ 연간 예상 절감액 (백만원/년)
= LNG 절감량 * 1,000 * LNG 단가 / 1,000,000
= 31.9 (kN㎥/년) * 1,000 * 639 (원/N㎥) / 1,000,000 (원/백만원)
= 20.4 백만원/년
④ 예상 투자비 (백만원)
자재비 : 65.0 백만원
인건비 : 5.0 백만원
합 계 : 70.0 백만원
⑤ 투자비 회수기간 (년)
= 예상 투자비 / 예상 절감액
= 70.0 (백만원) / 20.4 (백만원/년)
= 3.4 년
⑥ 연간 예상 온실가스 저감량 (tC/년)
= LNG 절감량 * 에너지 환산 계수 * 탄소배출계수
= 31.9 (kN㎥/년) * 1.05 (toe/kN㎥) * 0.637 (tC/toe)
= 21.3 tC/년
'정보 공유 > 보일러 에너지절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일러 교체, 설비대체 (0) | 2020.08.17 |
---|---|
10톤(t/h) 보일러를 저용량 5톤(t/h) 고효율 콘덴싱보일러로 교체, 설비대체 (0) | 2020.08.04 |
탈기기 Vapor 증기열 회수, 폐열회수 (0) | 2020.08.03 |
폐열보일러 용량 증설, 폐열회수 (0) | 2020.08.02 |
보일러 보급수 예열, 폐열회수 (0) | 2020.08.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