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공유/보일러 에너지절약29 관류보일러 2대 신설로 대수제어 10톤(t/h), 설비대체 제 목 관류보일러 2대 신설로 대수제어 10톤(t/h) 업 종 섬유 생산제품 폴리에스텔 섬유 개선안 대분류 설비대체 개선안 소분류 적정 용량의 보일러로 대체 개선 전 ㅇ 7 ton/h 의 노통 연관 보일러 1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생산 공정과 난방용에 증기부하를 담당하고 있다. ㅇ 7 ton/h 보일러는 0.4MPa의 압력으로 증기를 생산하고 있으며 생산공정과 난방에서 0.2MPa 로 감압하여 사용하고 있다. ㅇ 7 ton/h 보일러의 열원은 LNG를 사용하고 있으며 배기덕트에 Economizer를 설치하여 평균 20℃의 급수를 예열하여 50℃로 공급하고 있다. ㅇ 보일러 운전현황은 다음과 같다. ㅇ 진단기간 현재는 난방 증기부하가 중지된 상태이며 생산공정의 부하 감소로 부하율 6%로 운전되고 있으며 증기.. 2020. 8. 18. 보일러 교체, 설비대체 제 목 보일러 교체 업 종 건물/서비스 생산제품 - 개선안 대분류 설비대체 개선안 소분류 적정 용량의 보일러로 대체 개선 전 ㅇ 보일러 1,3호기의 운전현황으로 잦은 보일러의 On-Off으로 인하여 예열손실이 많음을 알 수 있다. ㅇ 부하변동율(On-Off 횟수) : 18 회/h ㅇ 부하변동율(On-Off 횟수) : 14 회/h 개선 후 ㅇ Purge 손실을 고려한 실제 보일러 효율 : 1호기 기준 - Purge 운전 손실열량 산출(Q) = 풍량(N㎥/min) × (시간당Purge횟수 × 회당Purge시간)(min/h) × 비열(kcal/N㎥℃) × 온도(t) = 45(N㎥/min)× (18 × 1분40초)(min/h)× 0.31(kcal/N㎥℃) × (140-25)(℃) = 48,127(kcal/h) .. 2020. 8. 17. 10톤(t/h) 보일러를 저용량 5톤(t/h) 고효율 콘덴싱보일러로 교체, 설비대체 제 목 10톤(t/h) 보일러를 저용량 5톤(t/h) 고효율 콘덴싱보일러로 교체 업 종 화공 생산제품 의약품 개선안 대분류 설비대체 개선안 소분류 적정 용량의 보일러로 대체 개선 전 ㅇ 멸균 등 생산공정용 및 공조기 온수공급용 증기를 생산하기 위해 10(t/h) 노통연 관식 보일러 1기, 20(t/h) 수관식 보일러 1기, 총 2기를 설치하여 주간단위로 전환운전. ㅇ 보일러는 현장의 증기사용부하에 따라 4.5(kg/cm2g) 내외의 증기압력으로 저부하 운전 및 자동 ON-OFF 운전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부하량이 크지 않아 10(t/h) 노통연관식 보일러는 주간시간대에 저부하로 운전 중이며 야간시간대는 On-Off 운전. ㅇ 20 (t/h) 수관식 보일러를 보면 10(t/h) 보일러보다도 용량이 커 주간.. 2020. 8. 4. 탈기기 Vapor 증기열 회수, 폐열회수 제 목 탈기기 Vapor 증기열 회수 업 종 화공 생산제품 염화칼슘 개선안 대분류 폐열회수 개선안 소분류 재 증발 증기열 회수 개선 전 ㅇ 45(ton) 유동층 보일러급수는 순수를 제조해서 사용하고 탈기기에서 용존가스를 제거하고 고압의 증기로 순수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재증발 증기가 발생하는데 재증발증기를 회수하고 있으나 열교환기의 용량이 부족하여 재증발 증기의 일부가 대기로 방출되고 있다. 개선 후 ㅇ 기존 열교환기 용량으로는 순수 11.5(ton/h)의 온도를 12(℃)에서 41(℃)까지 승온 하고 있는데 열교환기 용량을 증설한다면 순수의 온도를 18(℃) 더 승온이 가능 하다. 가) 기준 - 열교환기 통과 급수량 : 11,500 (kg/h) ※ 유속 : 1.46 (m/s), 관경 : 50(A) - 열.. 2020. 8. 3. 폐열보일러 용량 증설, 폐열회수 제 목 폐열보일러 용량 증설 업 종 금속 생산제품 알루미늄 개선안 대분류 폐열회수 개선안 소분류 폐열보일러 설치로 증기 또는 동력생산 개선 전 ㅇ Coating 공정 소각로에는 열교환기 2대가 설치되어 약 750℃의 폐가스를 열교환 하여 Oven과 소각로에 각각 270℃와 400℃의 연소용 공기를 승온하여 공급하고 있다. ㅇ 소각로에서 발생한 폐가스는 열교환기를 지나 대기로 배출하는 덕트와 1.8ton/h 의 폐열보일러로 연결되는 덕트로 분기되어 있다. 개선 후 ㅇ Coating 공정에 기존의 폐열보일러보다 용량이 큰 폐열보일러를 설치하여 소각 로에서 발생한 폐가스중 대기로 배출되는 고온의 폐가스를 회수하여 증기를 생 산함으로써 보일러실의 Main보일러의 부하를 경감시키고 에너지를 절감한다. 기대효과 ㅇ.. 2020. 8. 2. 보일러 보급수 예열, 폐열회수 제 목 보일러 보급수 예열 업 종 식품 생산제품 식품첨가물 개선안 대분류 폐열회수 개선안 소분류 공정폐열을 회수하여 보일러 급수 예열 개선 전 ㅇ 보일러 보충수는 지하수를 R/O 정수기로 정수하여 사용하고 있다. ㅇ 보급수의 평균온도는 약 20℃ 정도이다. ㅇ 칠러는 1일 16시간 가동되고 있으며, 계절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측정일 현재 약 35~40℃를 냉각탑에서 냉각시키고 있다. ㅇ 보일러는 24시간 가동되고 있으며, 칠러 가동시의 보급수량은 일 60톤 정도이다. 개선 후 ㅇ 칠러 냉각탑 입구배관을 2층 R/O 실로 연결하여 판형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냉 각탑에 연결되도록 한다. ㅇ 보일러 보급수 R/O정수기 토 출배관을 판형 열교환기에 연 결하고 예열된 물을 보급수 탱 크에 공급한다. ㅇ 보급수탱크.. 2020. 8. 1. 블로우 다운수열 회수, 폐열회수 제 목 블로우다운 폐열회수 업 종 금속 생산제품 LCD 편광판 개선안 대분류 폐열회수 개선안 소분류 블로우 다운수열 회수 개선 전 ㅇ 보일러 연속 블로우 다운량은 160℃, 평균 240kg/h 정도 배출되고 있으며, 열회 수 없이 폐수장으로 배출되고 있음. ㅇ 보일러 운전압력이 6kg/㎠g이므로 버려지는 열량은 159kcal/kg으로써 시간당 71,550 kcal/h 개선 후 ㅇ 현재 보일러에 Economizer가 설치되어있고, 연속 블로우 다운수를 이용하여 급수 온도를 예열하여 공급하도록 한다. ㅇ 65℃의 급수 온도 상승 ㅇ 열교환후 브로우다운 배출수 온도 : 70℃ 기대효과 ㅇ 연료절감량: 11(toe/년) ㅇ 절감액: 5.9(백만원/년) ㅇ 투자소요액: 10(백만원) ㅇ 회수기간: 1.7(년) 2020. 7. 31. 보일러 블로우다운수 열회수, 폐열회수 제 목 보일러 블로워수 폐열회수 업 종 산업기타 생산제품 건물/호텔 개선안 대분류 - 개선안 소분류 블로우다운수 열회수 개선 전 ㅇ 현재 보일러 블로워에서 발생되는 물이 수질관리를 위해 80℃로 많은 열원이 버 려지고 있다. 20평 정도의 한실 바닥난방을 위해 난방 전체 순환펌프를 사용하고 있으며, 사우나실의 온수공급을 위해 시수를 순간가열기를 통해 60℃로 공급, 현재 사우나 폐열회수용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으나 사우나 하수부족 등의 이유 로 사용하지 않고 있다. 개선 후 ㅇ 전력에너지측면에서는 한실 바닥난방을 위해 난방 전체순환 펌프(19Kw/h) 를 사 용으로 연료와 전력이 과다 하게 소비되고 있으며, 열에너지측면에서는 블로워 폐수(80℃ 0.6(m3/h))가 버려지고 있다. 이를 열교환기 설치와 .. 2020. 7. 30. 블로우다운 폐열회수, 폐열회수 제 목 블로우다운 폐열회수 업 종 화공 생산제품 인산 개선안 대분류 폐열회수 개선안 소분류 블로우다운 폐열회수 개선 전 ㅇ 보일러 관 상부 및 하부의 스케일 방지를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블로우 다 운을 실시하고 있다. 블로우다운 폐수 현열을 이용하여 간접 열교환 예열, 난방 에 사용 함으로써 보일러 연료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공정4팀에는 열수를 이용 한 기존 FAN COIL UNIT(난방설비)로 실온을 높여 줌으로써 현재 공정4팀 난방 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ㅇ 95℃의 블로우 다운수를 전량 폐수로 방류 하고 있으며 1일 블로우 다운폐수의 양은 보일러 운전일지를 참고 하였으며 아래표와 같다. 개선 후 ㅇBlow down Tank의 열량을 회수하기 위해 열교환기와 순환 펌프를 .. 2020. 7. 29. 재증발 증기 회수, 폐열회수 제 목 재증발 증기 회수 업 종 산업기타 생산제품 자동차용 방진고무부품 개선안 대분류 폐열회수 개선안 소분류 Vent 증기 열 회수 개선 전 ㅇ 공장의 열원은 유틸리티동의 증기보일러에서 증기를 공급받고 있다. ㅇ 공장의 증기는 전처리공정과 도장도포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다. ㅇ 공장의 증기사용압은 약 6kg/cm2이며, 응축수는 약 4~5kg/cm2의 압력으로 응축 수탱크에 회수되고 있다. ㅇ 고압의 응축수로 인해 응축수탱크에서 재증발 증기가 발생되고 있다. ㅇ 재증발증기의 응축을 위해 응축수탱크에 시간당 0.45ton의 보충수(약 20℃) 를 급 수하고 있으나 효과는 미미하다. ㅇ 유틸리티동의 증기보일러에는 시간당 2.38ton의 보충수(약 20℃)가 공급 되고 있다. ㅇ 회수되지 못한 재증발증기로 인한 .. 2020. 7. 28. 열매체보일러 폐열회수, 배기가스 폐열회수 제 목 열매체보일러 폐열회수 업 종 금속 생산제품 파티클보드 개선안 대분류 배기가스 폐열회수 개선안 소분류 배기가스 열을 이용하여 난방열원 공급 개선 전 ㅇ 현재 가동되고 있는 200만(kcal/hr) 열매체보일러에서 대기로 방출되고 있는 배가스 온도가 높아 에너지손실이 큼. - 배가스온도 : 282.5(℃) ㅇ 또한 Glue Line에 있어 동절기 동안에 온도저하에 따른 Glue와 Chip의 혼합의 불균일등의 문제점이 발생. 개선 후 ㅇ 배가스 Duct Line에 공기예열용 Recuperator를 설치하여 Hot Air를 발생시켜 Glue Line에 동절기 난방을 실시함으로서 동절기 난방 에너지 절감을 도모. 기대효과 ㅇ 연간 절감전력량 = 417,600 - 27,000 = 390,600(kWh/년) .. 2020. 7. 27. 목재보일러 배기가스 폐열회수 검토, 배기가스 폐열회수 제 목 목재보일러 배기가스 폐열회수 검토 업 종 금속 생산제품 합판 개선안 대분류 배기가스 폐열회수 개선안 소분류 배기가스 열을 이용하여 드라이어 건조용 공기예열(열교환기 신설) 개선 전 ㅇ 공기예열기(A/H) 및 절탄기(E/M)를 설치하여 목재보일러의 배가스 폐열을 회수. ㅇ 보일러의 연소용 공기예열 및 급수 승온 등에 활용하고 있음. ㅇ 최종 후단 배기가스 측정온도는 250℃로써 여전히 높으므로, 이 고온의 배기가스 폐열을 회수할 필요가 있음. 개선 후 ㅇ 일반적으로“배기가스 보유 폐열”을 회수하여 이용함으로써 배기가스 배출온도를 25℃ 낮출 경우 연료의 약 1% 정도가 절감됨. ㅇ 배기가스 폐열을 회수하는 방안은, 공기예열기(A/H)를 설치하여 목분을 건조하 기위한 드라이어(건조기)의 건조용 공기를.. 2020. 7. 26. 보일러 배기가스 폐열회수로 연소용 공기 예열, 배기가스 폐열회수 제 목 보일러 배기가스 폐열회수로 연소용 공기 예열 업 종 식품 생산제품 도계 개선안 대분류 배기가스 폐열회수 개선안 소분류 배기가스 열을 이용하여 연소공기 예열 개선 전 ㅇ 진단당시 가동중인 각 보일러의 배기가스 측정온도는 255℃, 220℃로 높음 ㅇ 이로 인하여 배기가스 손실열이 13.3%, 17.1%로 크게 발생하고 있지만, 이 고온 의 배기가스 폐열을 회수하지 못하고 있음. 개선 후 ㅇ 일반적으로 ‘배기가스 보유 폐열’을 회수하여 이용함으로써 배기가스 배출온도를 25℃ 낮출 경우 연료의 약 1% 정도가 절감됨. ㅇ 보일러 연료로 (B-C유)를 사용하고 있어 연료 중에 유황(S)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산노점(Dew point)범위(110~150℃) 이하로 냉각, 응축될 경우에는 저온부 식등의.. 2020. 7. 25. 배기가스 열을 이용하여 급수 예열(절탄기 신설), 배기가스 폐열회수 제 목 배가스 폐열회수 업 종 건물 생산제품 - 개선안 대분류 배기가스 폐열회수 개선안 소분류 보일러 통합운전배기가스 열을 이용하여 급수 예열(절탄기 신설) 개선 전 ㅇ 열정산 결과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보일러의 배가스 온도가 연도 후단에서 최소 159.9℃에서 최대 221.5℃까지 나타나며, 이로 인한 배가스 손실열은 최소 6.5%에서 최대 10.4%로 크게 발생하고 있다 개선 후 ㅇ 일반적으로 배가스 보유 폐열을 회수하여 이용함으로써 배가스 배출온도를 25℃ 낮출 경우 연료의 약 1% 정도가 절감된다. 그러므로 배가스 보유 폐열을 회수하 여, 불필요한 에너지손실을 줄이고자 한다. ㅇ 보일러 연료를 LNG인 청정연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연료 중에 유황(S)성분이 거 의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2020. 7. 24. 보일러 배기가스 폐열회수로 급수 예열, 배기가스 폐열회수 제 목 보일러 배기가스 폐열회수로 급수 예열 업 종 건물 생산제품 - 개선안 대분류 배기가스 폐열회수 개선안 소분류 배기가스 열을 이용하여 급수 예열(절탄기 신설) 개선 전 개선 후 ㅇ 보일러 배기연도에 절탄기를 설치하여 4.5ton/h 보일러 급수를 65℃에서 80℃로 승온하여 공급함으로써 보일러 효율증가와 연료를 절감한다. 기대효과 ㅇ 절감량: 2.3천 천N㎥/년 2.4 toe/년 ㅇ 절감액: 1.4 백만원/년 ㅇ 투자비: 8.2 백만원 ㅇ 회수기간: 5.8년 ㅇ 온실가스 저감량: 1.5 2020. 7. 23. LNG연료 보일러 배가스 폐열회수, 배기가스 폐열회수 제 목 LNG연료 보일러 배가스 폐열회수 업 종 금속 생산제품 알루미늄 샷시 개선안 대분류 배기사스 폐열회수 개선안 소분류 배기가스 열을 이용하여 급수 예열(절탄기 신설) 개선 전 ㅇ 현재 가동 중인 3.5Ton 노통연관식 보일러(2호기)의 연소가스 온도 측정 시 약 160.1℃가 폐열로 방출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선 후 ㅇ 보일러의 배기가스 (160.1℃)를 절탄기(Economizer)를 이용하여 48℃의 급수온도 를 58℃까지 예열하여 공급하면 48℃에서 130℃로 증기를 만들 때 발생하는 연 료 소비량을 58℃에서 130℃로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그 차이만큼 에 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ㅇ 여기서 급수의 온도를 95℃이상으로 예열할 경우에는 공급 PUMP에 캐비테이션 (Cavitatio.. 2020. 7. 22. 공기예열기를 추가 설치하여 배기 가스열 회수 강화, 배기가스 폐열회수 제 목 보일러 공기예열기를 추가 설치하여 배기 가스열 회수 강화 업 종 요업 생산제품 PHC파일 개선안 대분류 배기가스 폐열회수 개선안 소분류 배기가스 열을 이용하여 연소공기 예열 개선 전 ㅇ 당 공장의 보일러에는 공기 예열기가 설치되어 있어 연소용 공기를 예열하여 공 급하고 있으나 기존에 설치되어있는 Counter Type 공기예열기는 저온 부식의 문제로 인하여 연소용 공기의 예열온도를 160℃ 이내로 Control하고 있다. ㅇ 예열 공기의 상한을 제한하기 때문에 공기 예열기 후단의 배기가스 온도가 높게 나타나고있다. 개선 후 ㅇ 고온의 배기가스 배출 손실을 유효하게 회수하기 위해서 기존 Counter Type 공 기예열기 후단에 추가로 Parallel Type의 공기예열기를 설치하여 연소용 공기 온.. 2020. 7. 21. 보일러 배기가스 폐열회수, 배기가스 폐열회수 제 목 보일러 배기가스 폐열회수 업 종 요업 생산제품 유리 개선안 대분류 배기가스 폐열회수 개선안 소분류 배기가스 열을 이용하여 난방열원공급(열교환기 신설) 개선 전 □ 현황 ㅇ 당사는 열매체 Boiler를 이용, 170~180℃의 열매체를 생산하여 도장실 Oven기의 가열 열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ㅇ 정격현황 ㅇ 측정결과 □ 문제점 ㅇ Boiler에서 배출되는 배기Gas (배기온도 200.3℃)를 연도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시 키고 있는 것은 합리적인 에너지 이용이라고 할 수 없다. 개선 후 □ 개선방안 ㅇ Boiler 운전 시 발생되는 배기Gas 폐열을 전열교환기를 이용, 외기와 열교환하여 겨울철에는 Spoiler조립실의 난방(현재는 전열 Heat식 난방기 사용)에 이용하도 록 하고, 기타 계절에는 연.. 2020. 7. 20. 보일러 배가스 폐열회수로 지역난방수 회수온도 상승, 배기가스 폐열회수 제 목 보일러 배가스 폐열회수로 지역난방수 회수온도 상승 업 종 산업기타/지역난방 생산제품 중온수 개선안 대분류 배기가스 폐열회수 개선안 소분류 배기가스 열을 이용하여 난방열원공급 개선 전 ㅇ 각 보일러의 배가스 출구 측에 절탄기 및 공기예열기가 설치되어 배가스 폐열을 회수하고 있으나 배가스 온도를 보면 공기예열기 후 배가스 온도가 135[℃] ~ 142[℃]로 다소 높다. 개선 후 ㅇ 현재 지역난방 Return 수의 수처리를 위한 배관 및 펌프가 설치되어 일정량을 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하여 수질을 관리하는 바 이를 이용하는 방안으로 아래 그 림과 같다. 지역난방 Return 수의 이온교환장치를 통과한 Return 수는 보일러 배가스 연도에 절탄기를 설치하여 지역난방수를 Heating하는 방안으로 일부 지역.. 2020. 7. 19. 보일러 공기예열기 설치, 배기가스 폐열회수 제 목 보일러 공기예열기 설치 업 종 섬유/염색 생산제품 NYLON, 옥스포드 개선안 대분류 배기가스 폐열회수 개선안 소분류 배기가스 열을 이용하여 연소공기 예열(공기예열기 신설) 개선 전 ㅇ 열매보일러는 텐타 2대와 코팅기 2대에 열매를 공급하고 있다. ㅇ 열매온도는 공급시 250[℃], 회수시 220[℃]를 유지하고 있다. ㅇ 배기공기의 온도는 260[℃]정도로 고온이나, 열교환기등의 설치가 없어 배기손실이 다량으로 발생하고 있다. ㅇ 열매보일러의 가동은 1일 24시간, 연간 300일 가동되고 있다. 개선 후 ㅇ 배기공기를 이용한 공기예열기를 부착하여 급기공기를 예열한다. ㅇ 버너를 고온용으로 교체한다. ㅇ 급기팬 및 덕트를 설치하고, 덕트를 보온한다. ㅇ 급기 및 배가스 운전조건 기대효과 ① 예상 .. 2020. 7. 18. LNG 사용 보일러(열매보일러) 공기비 조정, 연소관리 합리화 제 목 LNG 사용 보일러(열매보일러) 공기비 조정 업 종 요업 생산제품 유리장섬유 개선안 대분류 연소관리 개선안 소분류 공기비 조정을 통한 연료 절감 개선 전 ㅇ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용량 180만kcal/h 열매체 보일러를 가동 중이다. 열매 보일러는 고온이 필요한 건조기1, 2호기의 열원 공급용으로 사용된다. ㅇ 열매체 보일러의 배가스 성분 분석 결과 산소 농도가 약 9.0 Vol.%이며, 이때의 공기비가 1.8로 보일러 기체연료의 기준 공기비 1.1과 비교하여 약70%의 과잉공 기가 공급되어 불필요 공기가열에 의한 열손실이 발생되고 있다. 개선 후 ㅇ LNG 1Nm3를 완전연소 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이론 연소공기량은 10.696Nm3 이 나, 실제 연소에서는 연료의 특성, 연소기기의 성능 등 .. 2020. 7. 17. 공기비 조정을 통한 연료 절감, 연소관리 합리화 제 목 공기비 조정을 통한 연료 절감 업 종 섬유 생산제품 폴리에스트 개선안 대분류 연소관리 개선안 소분류 O2 Trimming 시스템 설치를 통한 공기비 조정 개선 전 ㅇ 연료를 연소하여 연소열을 발생하기 위하여는 산소를 필요하게 되며 공기중의 21(%)의 산소를 이용하게 된다. 공기비란 연료를 완전 연소하는데 필요로 하는 이론연소공기량에 대한 실제 투입공기량의 투입 비율을 말한다. ㅇ B-C유 1kg을 완전 연소하시키기 위해서는 10.839Nm3의 이론연소공기량이 필요하 나, 실제 연소에서는 연료의 특성, 연소기기의 성능등 조건을 감안하여 불완전 연소가 발생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최소의 공기비로 연소하는 것이 연료절약을 위한 연소기법이 된다. B-C유를 연소하는 경우에는 이론공기량보다 약20%정도의 과.. 2020. 7. 16. 응축수 회수 펌프 교체로 응축수 회수 강화, 운전관리 합리화 제 목 응축수 회수 펌프 교체로 응축수 회수 강화 업 종 섬유 생산제품 폴리에스터 개선안 대분류 운전방법 개선 개선안 소분류 응축수 회수량 증대 개선 전 ㅇ 생산공정 및 동파, 난방에 필요한 증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4t/h, 6t/h 용량의 수 관식 보일러가 1.8Mpa의 압력으로 운전되고 있으며, 헤더에서 공정 조건에 맞게 0.8~1.8Mpa의 압력으로 분리 공급하고 있다. ㅇ 응축수 회수 펌프(오그덴 펌프)의 고장으로 응축수가 회수 되지 못하고 폐기되고 있다. 개선 후 ㅇ 응축수 회수 펌프(오그덴 펌프)를 교체한다. 기대효과 ㅇ 절감량: B-C유: 27.8kℓ/년, 27.5 toe/년 ㅇ 절감액: 11.5 백만원/년 ㅇ 투자비: 34 백만원 ㅇ 회수기간: 3년 ㅇ 온실가스 저감량: 24.1 2020. 6. 30. 중앙기계실 열원장비 운전 방법 개선, 운전관리 합리화 제 목 보일러 중앙기계실 열원장비 운전 방법 개선 업 종 건물 생산제품 - 개선안 대분류 운전방법 개선 개선안 소분류 적정 용량의 보일러 운전(고부하 운전비율 증대) 개선 전 □ 현 황 ㅇ 각 건물별 냉․난방을 위하여 중앙기계실의 4.5t/h 또는 5t/h노통연관식 보일러 및 360usRT흡수식 냉동기를 가동중에 있음. □ 문제점 ㅇ 2008년도 보일러 가동 상태를 분석한 결과, 여름철 냉방 운전 시 흡수식 냉동기 냉매 재생용 증기를 1,584kg/h 사용하고 있다. 용량 4.5t/h 또는 5t/h 노통연관 식 증기보일러를 가동하고 있기 때문에 보일러 부하율이 약 40% ~ 45%로 낮게 유지되고 있다. 저부하 운전으로 보일러 단속가동 및 과잉공기가 공급되고 있어 열효율이 낮게 유지되고 있다. ㅇ 또한 .. 2020. 6. 2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