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5

보일러 배가스 폐열회수로 지역난방수 회수온도 상승, 배기가스 폐열회수 제 목 보일러 배가스 폐열회수로 지역난방수 회수온도 상승 업 종 산업기타/지역난방 생산제품 중온수 개선안 대분류 배기가스 폐열회수 개선안 소분류 배기가스 열을 이용하여 난방열원공급 개선 전 ㅇ 각 보일러의 배가스 출구 측에 절탄기 및 공기예열기가 설치되어 배가스 폐열을 회수하고 있으나 배가스 온도를 보면 공기예열기 후 배가스 온도가 135[℃] ~ 142[℃]로 다소 높다. 개선 후 ㅇ 현재 지역난방 Return 수의 수처리를 위한 배관 및 펌프가 설치되어 일정량을 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하여 수질을 관리하는 바 이를 이용하는 방안으로 아래 그 림과 같다. 지역난방 Return 수의 이온교환장치를 통과한 Return 수는 보일러 배가스 연도에 절탄기를 설치하여 지역난방수를 Heating하는 방안으로 일부 지역.. 2020. 7. 19.
보일러 공기예열기 설치, 배기가스 폐열회수 제 목 보일러 공기예열기 설치 업 종 섬유/염색 생산제품 NYLON, 옥스포드 개선안 대분류 배기가스 폐열회수 개선안 소분류 배기가스 열을 이용하여 연소공기 예열(공기예열기 신설) 개선 전 ㅇ 열매보일러는 텐타 2대와 코팅기 2대에 열매를 공급하고 있다. ㅇ 열매온도는 공급시 250[℃], 회수시 220[℃]를 유지하고 있다. ㅇ 배기공기의 온도는 260[℃]정도로 고온이나, 열교환기등의 설치가 없어 배기손실이 다량으로 발생하고 있다. ㅇ 열매보일러의 가동은 1일 24시간, 연간 300일 가동되고 있다. 개선 후 ㅇ 배기공기를 이용한 공기예열기를 부착하여 급기공기를 예열한다. ㅇ 버너를 고온용으로 교체한다. ㅇ 급기팬 및 덕트를 설치하고, 덕트를 보온한다. ㅇ 급기 및 배가스 운전조건 기대효과 ① 예상 .. 2020. 7. 18.
LNG 사용 보일러(열매보일러) 공기비 조정, 연소관리 합리화 제 목 LNG 사용 보일러(열매보일러) 공기비 조정 업 종 요업 생산제품 유리장섬유 개선안 대분류 연소관리 개선안 소분류 공기비 조정을 통한 연료 절감 개선 전 ㅇ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용량 180만kcal/h 열매체 보일러를 가동 중이다. 열매 보일러는 고온이 필요한 건조기1, 2호기의 열원 공급용으로 사용된다. ㅇ 열매체 보일러의 배가스 성분 분석 결과 산소 농도가 약 9.0 Vol.%이며, 이때의 공기비가 1.8로 보일러 기체연료의 기준 공기비 1.1과 비교하여 약70%의 과잉공 기가 공급되어 불필요 공기가열에 의한 열손실이 발생되고 있다. 개선 후 ㅇ LNG 1Nm3를 완전연소 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이론 연소공기량은 10.696Nm3 이 나, 실제 연소에서는 연료의 특성, 연소기기의 성능 등 .. 2020. 7. 17.
공기비 조정을 통한 연료 절감, 연소관리 합리화 제 목 공기비 조정을 통한 연료 절감 업 종 섬유 생산제품 폴리에스트 개선안 대분류 연소관리 개선안 소분류 O2 Trimming 시스템 설치를 통한 공기비 조정 개선 전 ㅇ 연료를 연소하여 연소열을 발생하기 위하여는 산소를 필요하게 되며 공기중의 21(%)의 산소를 이용하게 된다. 공기비란 연료를 완전 연소하는데 필요로 하는 이론연소공기량에 대한 실제 투입공기량의 투입 비율을 말한다. ㅇ B-C유 1kg을 완전 연소하시키기 위해서는 10.839Nm3의 이론연소공기량이 필요하 나, 실제 연소에서는 연료의 특성, 연소기기의 성능등 조건을 감안하여 불완전 연소가 발생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최소의 공기비로 연소하는 것이 연료절약을 위한 연소기법이 된다. B-C유를 연소하는 경우에는 이론공기량보다 약20%정도의 과.. 2020. 7. 16.
TVR 장점 및 적용 분야, 변동식 TVR, 냉동(냉수) 시스템 요소기술 6) TVR 장점 및 적용 분야 가. 장점 o 운전비용 : 외부 동력의 공급없이 자체 증기의 유체역학적인 동력에 의하여 작동되므로 가동을 위한 추가적인 운전비용(연료, 전기)이 발생하지 않음 o 구조 : 회전체등이 없고 간단한 장치의 조합이므로 소음 및 진동이 없음 o 유지관리비용 : 소모품이 없고 장치의 구성품은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유지관리 를 위한 추가비용 지출이 없음 o 운전의 용이성 : 토출증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이를 구동증기의 양에 인터록하므로 출구 증기의 자동 압력제어가 가능함 o 전열 효율의 향상 : 증기트랩을 적용한 열사용설비의 증기 가열면에는 응축된 응축수가 일부 배출되지 못하고 남아 있게 되어 열전달율 저하로 인해 고압의 증기를 공급하여야 하는 바, 증기트랩을 제거하고 연속 응.. 2020. 7. 15.
TVR 시스템 유동방향별 확대-축소 노즐 면적과 압력 및 속도 분포, 변동식 TVR, 냉동(냉수) 시스템 요소기술 5) TVR 시스템 유동방향별 확대-축소 노즐 면적과 압력 및 속도 분포 o 변동식 TVR 챔버와 축소-확대노즐(Converging and Diverging Nozzle)에 의하여 모티브 증기 MS와 재증발증기 SS의 혼합-압력강하-속도상승이 이루어지는 구간영역으로 축소- 확대 노즐 끝단부에서는 MS와 DS의 압력과 속도가 동일하게 된다. o 유동방향별 노즐의 면적이 줄어드는 축소노즐 부문에서는 노즐내 유속이 음속보다 적은 Ma. no1인 초음속(Super sonic) 영역으로 노즐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MS의 압력은 계속해서 감소되며 속도는 증 가하게 된다. o TVR 축소-확대노즐 노즐 이후 관 마찰손실을 무시한 목부분을 지나 TVR의 확관부 디퓨 져(Diffuser)에 의하여 공정스팀 DS의 요구압력.. 2020. 7. 14.
증발조(Flash Tank), 변동식 TVR, 냉동(냉수) 시스템 요소기술 4) 증발조 (Flash Tank) o 스팀트랩을 거친 고온응축수와 재증발증기를 모으는 탱크이며, 내부에 수위감지용 센서 를 내장함. 내부액면 상부의 저압증기는 상부의 연결관을 통하여 TVR의 흡입실에 이르 고 이곳의 고진공 압력에 의하여 재증발된 저압증기가 흡입됨. o 액면 감지기는 보충수에 의하여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하부의 고온응축수는 인 근에 설치되는 고온응축수 펌프에 의하여 개별 열원설비인 보일러로 유입되거나 집단에 너지 공급지로 회수되도록 한다. 가. 재증발조 형식 o 재증발조는 증기트랩 후단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와 재증발증기를 분리하는 분리 및 저장 조이다. 아래 그림은 유럽 압력용기 강제 규정 EPER(European Pressure Equipment Directive) 97/23/.. 2020. 7. 13.
TVR 구성, 변동식 TVR, 냉동(냉수) 시스템 요소기술 2) TVR 설명 o 상기의 공정 응축수의 재증발증기 회수 방법 중 열적증기재압축장치 TVR을 활용한 고온 응축수 에너지 회수는 기수분리조인 증발조(Flash Vessel)를 이용하여 트랩 후단부 응축 수조내 3kg/㎠.g~8kg/㎠.g의 중·저압의 재증발증기를 생증기와 혼합-승압하여 공정열로 재이용하도록 하는 에너지효율향상 및 절약 설비임. 3) TVR 구성 o 변동식 TVR은 챔버부(Chamber), 디퓨져(Diffuser), 제어부(Control), 연결부(Flange, Nut, Stud) 및 챔버(Chamber)로 구성되어있다. o 챔버부 ­ - 생증기(Motive Steam)와 재증발조에서 유입되는 재증발증기SS(Suction Steam)를 챔버 토출측에서 동일 압력과 동일 속도를 가질 수 있도.. 2020. 7. 12.
응축수가 포함한 열 회수방식, 변동식 TVR, 냉동(냉수) 시스템 요소기술 4. 변동식 TVR o 일반적인 방법인 개방형 급수탱크로 회수할 경우에는 고온고압의 응축수는 대기압 조건 의 포화온도 상태로 전환되면서 재증발 비산증기가 필연적으로 발생되어 회수된 응축수 열 중 상당한 열이 대기로 방출되게 된다. o 이와 같이 응축수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응축수를 최대한 회수하기 위해서는 각 산업 현장조건에 알맞은 응축수 회수방법으로 응축수 회수시스템 이 요구되어진다. 1) 응축수가 포함한 열 회수방식 가. TVR 활용 재증발조(Flash Vessel) 재증발증기 회수 및 승압 방식 o 응축수조에 발생하는 재증발증기 회수-혼합-승압 장치인 TVR은 고압 생증기(Live Steam) 인 구동증기 MS(Motive Steam)를 TVR 내부 노즐에 의한 챔버내 압.. 2020. 7. 11.
산업용 히트펌프, 냉동(냉수) 시스템 요소기술 3. 산업용 히트펌프 o 냉난방용으로 이용되는 히트펌프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산업용 히트펌프가 있는데, 가정 용/상업용 히트펌프와는 달리 차별화되는 장점들이 있다. 예컨대, 시설원예, 양식 등에 이용되는 경우 대상온도가 10℃ 정도로 주거용에 비해 매우 낮아서 동절기에 운전효율 (COP 기준)이 가정용 대비 매우 뛰어나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산업용 히트펌프는 연중 운전되는 경우가 많아 운전율이 높으며, 공정상에 필요한 냉열과 온열이 근접하여 있으 므로 배관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많은 경우 폐열의 생산과 공정 열수요가 동시에 존재하 므로 생산에 편리한 점이 있다. o 산업용 히트펌프는 그 용량에서 50 - 150 kW에서 수 MW의 영역에서 적용되며,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o 증기압축.. 2020. 7. 10.
공조 냉난방용 히트펌프, 냉동(냉수) 시스템 요소기술 2. 공조 냉난방용 히트펌프 o 냉난방에 적용하기 위한 가정용/상업용 히트펌프는 인간이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는 온 도범위를 목표로 운전된다. 보통 설정온도가 21~26℃인데, 이 경우 주거온도는 매우 안 정적이며 성능비교를 위하여 표준운전상태 1)에서의 COP를 비교하면 된다. o 다음 그림은 전형적인 증기압축식 냉난방겸용 히트펌프의 구성도이다. 일반 증기압축시 스템과의 차이점은 사방변(4-way valve)를 통해서 실내 열교환기가 증발/응축을 선택하 여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냉방이 필요할 시에는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의 역할을 수행하며 난방이 필요할 시에는 사방변을 절환하여 응축기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o 히트펌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저온부로 사용되기 위한 열원이다. 가장 일반적인 히.. 2020. 7. 9.
히트펌프 시스템 분류, 냉동(냉수) 시스템 요소기술 1. 히트펌프시스템 개요 o 히트펌프는 종류와 주요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고 정리되어 있으나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압축식과 흡수식 및 축열식을 주 대상으로 분석함. 화학식은 현재 세계적으로 상용화된 제품이 없는 상황이며, 가스구동식의 경우 일본 제품의 국내 시장 점령과 일본 위주의 시장으로 한정되어 있고 제습식의 경우 냉방 위주의 제품인 관계로 분석 대상에 서 제외함. o 히트펌프는 공조용과 산업용으로 구분하여 적용되어진다. EG-TIPS 에너지온실가스 종합정보 플랫폼 냉동(냉수) 시스템 냉동이란 어떤 물체나 공간의 열을 인위적으로 빼앗아 주위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만들거나 혹은 저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 이와 유사한 용어로 동결, 냉방, 냉장 등이 있으 tips.energy.or.kr 2020. 7. 8.
히트펌프 시스템 개요 및 개념도, 냉동(냉수) 시스템 요소기술 히트펌프(heat pump)란? 일반적으로 물리학의 법칙에 의하면 열은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데, 히트펌프는 반대로 낮은 온도에서 높은 온도로 열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지금은 물론 낮은 온도에서 높은 온도로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도 사용되지만, 열을 이송한다는 뜻으로 히트펌프라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됩니다. 히트펌프는 공기, 수열, 지열, 폐열원 등 저온의 열원에서 열을 흡수하여 고온의 열을 생산하는 기기로 적은 구동 에너지(전기, 가스 등)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에너지를 열의 형태로 공급하는 열변환 기기이며, 히트펌프는 공기, 하천수, 폐수(열) 등의 미활용에너지와 지열, 태양열 등의 신재생에너지를 냉난방, 급탕 및 공정용의 고급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비연소(combustion-f.. 2020. 7. 7.
흡수식 이중효용 냉온수기, 냉동(냉수) 시스템 요소기술 흡수식 시스템 주설비 o 흡수식 냉동기의 냉매와 흡수제를 기준으로 분류하면 현재 공조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과 저온용 또는 소규모 고조용으로 일부 사용되고 있는 암모니아-물계로 나눌 수 있다. o 또한 사이클의 종류에 따라 일중효용, 이중효용 및 흡수식 히트펌프와 삼중효용 및 자기 재생사이클 등으로 분류되며, 사용열원에 따라 온수식, 증기식 및 직화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5. 흡수식 이중효용 냉온수기 1) 구성 o 기본적으로 이중효용과 동일하다. o 고온재생기에서 직접가열하면 전열관 외면을 흐르는 희용액을 가열 농축하여 중간 용액 을 만들고 냉매 증기를 발생시킨다. o 증발기에서 냉매의 증발로 냉방에 필요한 냉수를 제조한다. o 흡수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흡수하여 증발압력을 .. 2020. 7. 6.
직화 연소식 이중효용 흡수식냉온수기, 냉동(냉수) 시스템 요소기술 흡수식 시스템 주설비 o 흡수식 냉동기의 냉매와 흡수제를 기준으로 분류하면 현재 공조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과 저온용 또는 소규모 고조용으로 일부 사용되고 있는 암모니아-물계로 나눌 수 있다. o 또한 사이클의 종류에 따라 일중효용, 이중효용 및 흡수식 히트펌프와 삼중효용 및 자기 재생사이클 등으로 분류되며, 사용열원에 따라 온수식, 증기식 및 직화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4. 직화 연소식 이중효용 흡수식냉온수기 1) 특징 o 냉방과 온수 생산이 가능토로 한 흡수식 냉온수기로,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 재 생기 내부에 버너를 설치하여 직접 가열하고, 주로 별도의 온수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온 수생산이 가능하게 함. o 난방사이클 ­ - 고온재생기에서 버너에 의한 연료 가열.. 2020. 7. 5.
삼중효용 흡수식시스템, 냉동(냉수) 시스템 요소기술 3. 삼중효용 흡수식시스템 1) 개요 o 이중 효용 흡수식냉동기에 비하여 중온재생기와 중온열교환기가 추가된 사이클 o 고온 및 중온재생기에서 흡수기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에 실려 냉각탑에서 버려지는 열 을 회수하므로서 COP 개선 효과와 냉각탑 설비용량을 줄이는 것이 목적. o 성적계수는 약 1.4~1.6 정도로 장시간 냉방운전이 이루어지는 병원, 슈퍼, 공장 등에서 에너지 절감이 획기적으로 이루어 짐. o 리튬브로마이드+물 사이클이 가장 널리 연구되고 있음 o 작동 조건은 농용액의 농도는 약 64%, 희용액의 농도는 약 58% 정도이며, 고온 재생게 의 온도가 200℃ 정도임 2) 종류 o 열교환기에서 희용액(흡수기->재생기)과 농용액(재생기-흡수기) 간의 열교환 방식(회로 구성)에 따라 직렬식과 병렬식.. 2020. 7. 4.
이중효용 흡수식시스템, 냉동(냉수) 시스템 요소기술 흡수식 시스템 주설비 o 흡수식 냉동기의 냉매와 흡수제를 기준으로 분류하면 현재 공조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과 저온용 또는 소규모 고조용으로 일부 사용되고 있는 암모니아-물계로 나눌 수 있다. o 또한 사이클의 종류에 따라 일중효용, 이중효용 및 흡수식 히트펌프와 삼중효용 및 자기 재생사이클 등으로 분류되며, 사용열원에 따라 온수식, 증기식 및 직화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2. 이중효용 흡수식시스템 1) 원리 o 2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의 재생기는 고온재생기와 저온재생기로 구분되며, 고온재생기에 서는 중압증기에 의하여 흡수액을 가열하여 냉매증기를 발생시키고, 그 냉매증기가 저온 재생기에서 응축할 때 열을 이용하여 다시 한 번 흡수액을 가열하여 냉매증기를 발생시 킨다. o 이 .. 2020. 7. 3.
단일효용 흡수식시스템, 냉동(냉수) 시스템 요소기술 흡수식 시스템 주설비 o 흡수식 냉동기의 냉매와 흡수제를 기준으로 분류하면 현재 공조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과 저온용 또는 소규모 고조용으로 일부 사용되고 있는 암모니아-물계로 나눌 수 있다. o 또한 사이클의 종류에 따라 일중효용, 이중효용 및 흡수식 히트펌프와 삼중효용 및 자기 재생사이클 등으로 분류되며, 사용열원에 따라 온수식, 증기식 및 직화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1. 단일효용 흡수식시스템 o 1‘- 2- 5-3’는 냉매 물의 경로, 6-2-5-4는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의 경로를 나타낸다. o 6-2는 흡수기에서 흡수작용 Ÿ 2-7은 재생기에서 고온 희용액과 농용액과의 열교환에 의한 온도 상승 o 7-5는 재생기에서 비등점에 이를대까지의 가열 o 5-4는 재생기에서 .. 2020. 7. 2.
흡수식 시스템, 냉동(냉수) 시스템 요소기술 o 증기압축 사이클과 흡수식 사이클은 냉매를 저압부에서 고압부로 이송하는 방법에 있어 그 차이점을 두고 있다. 증기압축 사이클은 증발기에서 발생한 증기를 압축기를 사용하 여 고압의 증기로 변환하는 것으로 압축기 구동을 위하여 일이 필요하므로 “일구동 사 이클(work operated cycle)”이라고 불린다. 일반적으로 CFC, HCFC, HFC 계의 냉매를 사 용한다. o 이에 반해 흡수식 사이클은 흡수기와 발생기에서 냉매 증기가 흡수-재생- 증발하는 과정 을 이용하여 냉매를 이송하며 발생기에서 냉매 증기 발생을 위해 열 에너지를 이용하기 에 “열구동 사이클(heat operated cycle)”이라 불린다. 물(H2O), 암모니아(NH3), 리튬브로 마이드(LiBr) 냉매를 사용한다. 아래 표는 흡.. 2020. 7. 1.
응축수 회수 펌프 교체로 응축수 회수 강화, 운전관리 합리화 제 목 응축수 회수 펌프 교체로 응축수 회수 강화 업 종 섬유 생산제품 폴리에스터 개선안 대분류 운전방법 개선 개선안 소분류 응축수 회수량 증대 개선 전 ㅇ 생산공정 및 동파, 난방에 필요한 증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4t/h, 6t/h 용량의 수 관식 보일러가 1.8Mpa의 압력으로 운전되고 있으며, 헤더에서 공정 조건에 맞게 0.8~1.8Mpa의 압력으로 분리 공급하고 있다. ㅇ 응축수 회수 펌프(오그덴 펌프)의 고장으로 응축수가 회수 되지 못하고 폐기되고 있다. 개선 후 ㅇ 응축수 회수 펌프(오그덴 펌프)를 교체한다. 기대효과 ㅇ 절감량: B-C유: 27.8kℓ/년, 27.5 toe/년 ㅇ 절감액: 11.5 백만원/년 ㅇ 투자비: 34 백만원 ㅇ 회수기간: 3년 ㅇ 온실가스 저감량: 24.1 2020. 6. 30.
가난한 소녀에게 신발을 벗어주는 사람, 따뜻한 하루!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 라는 도시에서 찍힌 사진입니다. 맨발로 다니는 가난한 소녀에게 한 노인이 자신의 신발을 벗어주고 있는 아름다운 마음이 있는 사진입니다. # 오늘의 명언 사람이 따뜻한 마음을 잃는다면 무엇보다는 그 자신이 인생이 외롭고 비참하게 된다. – 칼 힐티 – 따뜻한하루 » 가난한 소녀에게 신발을 벗어주는 사람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 라는 도시에서 찍힌 사진입니다. 맨발로 다니는 가난한 소녀에게 한 노인이 자신의 신발을 벗어주고 있는 아름다운 마음이 있는 사진입니다. # 오늘의 명언 사람이 따� www.onday.or.kr 2020. 6. 30.
중앙기계실 열원장비 운전 방법 개선, 운전관리 합리화 제 목 보일러 중앙기계실 열원장비 운전 방법 개선 업 종 건물 생산제품 - 개선안 대분류 운전방법 개선 개선안 소분류 적정 용량의 보일러 운전(고부하 운전비율 증대) 개선 전 □ 현 황 ㅇ 각 건물별 냉․난방을 위하여 중앙기계실의 4.5t/h 또는 5t/h노통연관식 보일러 및 360usRT흡수식 냉동기를 가동중에 있음. □ 문제점 ㅇ 2008년도 보일러 가동 상태를 분석한 결과, 여름철 냉방 운전 시 흡수식 냉동기 냉매 재생용 증기를 1,584kg/h 사용하고 있다. 용량 4.5t/h 또는 5t/h 노통연관 식 증기보일러를 가동하고 있기 때문에 보일러 부하율이 약 40% ~ 45%로 낮게 유지되고 있다. 저부하 운전으로 보일러 단속가동 및 과잉공기가 공급되고 있어 열효율이 낮게 유지되고 있다. ㅇ 또한 .. 2020. 6. 29.
인생이라는 이름의 레시피, 따뜻한 하루! 삶이라는 것 자체가 하나의 레시피이다. 요리를 할 때는 여러 재료를 한 번에 하나씩, 순서대로 넣어야 한다. 인생도 마찬가지다. 한 번에 한 가지씩 해나가야 한다. ‘아, 이번 일을 잘 처리해야 하는데…’ ‘이거 했다가 망하면 어떡하지?’ 이런저런 생각에 휘둘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그냥 자연스러운 흐름에 자신을 맡기고, 하나, 둘 씩 새로운 경험을 더해 나아가면 된다. 때로는 내 의도와 관계없이 삶이 펼쳐지기 마련인데. 이럴 때일수록 믿음을 버려서는 안 된다. 지금 당장은 다음번에 넣을 재료 이상은 생각할 수 없다 하더라도, 여전히 맛있는 요리를 만들어가는 중이니까… 그러니까 중간에 손을 놓으면 안 된다. 간도 봐야 한다. 너무 싱거우면 소금도 더 넣어야 한다. 인생도 마찬가지다. 내 기분을 좋게 만.. 2020. 6. 29.
R/O(Reverse Osmosis)System으로 블로우 다운 손실 방지, 운전관리 합리화 제 목 R/O(Reverse Osmosis)System으로 블로우 다운 손실 방지 업 종 화공 생산제품 타이어, 튜브 개선안 대분류 운전방법 개선 개선안 소분류 급수처리 강화로 블로우다운 량 최소화 개선 전 ㅇ 다음과 같이 현장에 보일러가 운전되고 있다. ㅇ 보일러의 공급수는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으나 수질저하로 인하여 수돗물을 50%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ㅇ 혼용수를 사용함과 동시에 보일러 측에서 TDS밸브를 개방하여 블로우 다운을 시켜 보일러 내부의 스케일 형성을 방지하고 있다. ㅇ 수돗물을 혼용하여 사용하여도 지하수의 수질이 좋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일러 급수 수질은 떨어지는 편이다. ㅇ 보일러 급수의 수질저하로 인하여 항시 상부 블로우 다운을 실시하고 있으며, 하부는 수질에 따라 간헐 블로.. 2020. 6. 28.